-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방법 및 대상
2025년, 서울시는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정을 위한 '서울형 가사서비스'의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혜택을 강화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가정이 가사 부담을 덜고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래에서는 서울형 가사서비스의 주요 내용과 신청 방법을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지원 대상 확대: 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으로 확대
기존에는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만이 지원 대상이었으나, 2025년부터는 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까지 지원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이로써 연소득 약 1억 3,100만 원 이하의 4인 가구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구원 수 월 소득 기준 (원) 1인 가구 4,306,000 2인 가구 7,079,000 3인 가구 9,046,000 4인 가구 10,976000 5인 가구 14,517,000 지원 대상
- 임산부 가정: 임신 3개월부터 출산 후 1년 이내인 가구
- 맞벌이 가정: 주 20시간 이상 근로하며 12세 이하(201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
- 다자녀 가정: 18세 이하(2006년 1월 1일 이후 출생) 자녀가 2명 이상이며, 그중 12세 이하 자녀가 최소 1명 이상인 가구
또한, 가족 돌봄 공백이 발생한 가구는 우선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 연 70만 원 상당의 가사서비스 바우처 제공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대상 가정은 연 70만 원 상당의 바우처를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받게 됩니다.
이 바우처는 청소, 설거지, 세탁, 쓰레기 배출 등 다양한 가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공 기관에 따라 정리·수납, 반려동물 케어 등 특화 서비스도 이용 가능합니다.
이용 가능한 가사서비스는 거실, 주방 등 집 안 청소, 설거지, 세탁, 쓰레기 배출 등이며, 기존에는 정리·수납 등 일부 서비스 이용이 제한됐지만, 이제는 바우처 총액 내에서 업체별 특화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및 제공기관 선택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방법은 '서울맘케어'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웹사이트에서 신청 자격, 유형별 구비서류 등을 확인한 후, 제공기관으로 선정된 32개 업체의 서비스를 직접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서울 전역에서 모든 업체를 권역과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신청은 예산 소진 시까지 가능하며, 연내 소진하지 못한 서비스는 이월되지 않고 소멸되므로 해당 기간 내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신청기간
2025년 1월 20일 오전 9시부터 ~ 11월 21일 예산 소진 시까지
신청방법
서울맘케어 온라인 신청 및 증빙서류 제출
제출서류
- 공통 :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 납부 확인서
- 임산부 가구 : 임신확인서 또는 출생증명서
- 맞벌이 가구 : 재직증명서, 근로계약서, 사업자등록증 등
- 다자녀 가구 : 가족관계증명서
모든 서류는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분 인정원칙
사용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
서울형 가사서비스의 기대 효과
서울형 가사서비스는 가사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가정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특히 임산부와 육아 가정의 경제적·심리적 부담을 완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업체 간의 경쟁을 통해 서비스 질 향상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러한 지원을 통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고,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육아와 가사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정은 이번 기회를 통해 서울형 가사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제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농업인수당 지급확대 신청방법 및 지원대상 (2) 2025.03.08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확대 대상 및 기간 (2) 2025.03.07 광주 2025년 소상공인 신규채용 인건비 지원사업 대상, 신청방법 (0) 2025.03.03 2025년 인천 청년 자격증 응시료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2) 2025.02.28 2025년 경기도 고3 운전면허 지원 금액 및 신청방법 (2) 2025.02.27